‘통의동 보안여관’, 그림 읽기에 고민을 담은 박형지 개인전 ’그린맨(Green Man)’개최
‘통의동 보안여관’, 그림 읽기에 고민을 담은 박형지 개인전 ’그린맨(Green Man)’개최
  • 이예진 기자
  • 승인 2018.07.23 14: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트인포=이예진 기자]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통의동 보안여관’에서 7월 14일부터 8월 7일까지 박형지 작가의 개인전 ’그린맨(Green Man)’을 개최한다. 

박형지, 'A Green Man 12'. oil on linen, 200x150cm, 2018.
박형지, 'A Green Man 12'. oil on linen, 200x150cm, 2018.

이번 전시는 ‘회화가 사진과 인쇄 등 다양한 매체로 ‘이미지화’ 될 때 원본의 물성이 어떤 변형을 이루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됐다.

‘그린맨’은 각각 엽서 크기 정도부터 높이 약 2m 의 캔버스에 동일한 이미지를 반복해  그린 14점의 회화 연작, 각기 다른 7인에게 쓰여진 ‘그림 읽기’에 대한 고민을 담은 큐레이터의 편지 그리고 이를 다시 섬세하게 편집한 14개 버전의 출간물 ‘그린멘(헤적프레스)’로 구성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회화가 사진을 거쳐 인쇄 등 다양한 매체로 이미지화 될 때 원본의 실질적 물성이 축소와 확대, 굴절과 변형을 이루는가?에 대한 질문이다. 

또한, 원본과 복제의 경계가 더욱 흐릿해지는 세계에서 회화에 대한 우리의 오랜 종교, ‘역시 그림은 실제로 봐야합니다’라는 믿음에 대해 반문한다. 이런 질문들은 미술의 역사에서 줄곧 이어져 온 것이다. 그럼에도 이 새삼스러운 질문이 여기서 여전히 유효한 것은 이를 접근하는 흥미로운 형식에 있다. 

박형지 작가는 매체에 따른 원본의 변화에 자신의 방식으로 대응하는 그래픽디자이너 박연주와 최근 ‘회화의 수렁’에 빠져 있다고 고백하는 큐레이터 이성휘를 이 질문의 또 다른 화자로 초대했다.

박형지, 'A Green Man 8'. oil on linen, 20x15cm, 2017.
박형지, 'A Green Man 8'. oil on linen, 20x15cm, 2017.

이들의 대화를 통해 발현된 소기의 결과물은 전시장에서 서로를 부인하거나 흉내 낸다. 그러나 섣부르게 하나의 결론으로 매듭짓지는 않는다. 대신, 복제와 재현에 관한 또 다른 갈래를 만들어 낸다. 어쩌면, 여기서 보여지는 과정은 모든 이미지와 경험, 물질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현상일 것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박작가가 지난 2017년 네덜란드(AiR Sandnes)와 노르웨이(AiR WG)의 레지던시에서 시작한 작은 초상화에서 출발됐다.

박형지는 회화가 갖는 물질성의 변형과 또 이에 대한 수용의 태도를 묻기 위해 정체불명의 그린맨을 등장시켰다.  여기서 ‘그린맨’은 특정한 인물을 의식하거나 내러티브를 생성시키기 위함은 아니다.

박작가의 말에 따르면 모호한 인물을 통해 회화적 제스처를 강조하고 캔버스의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표면 자체에 주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장치일 뿐이다. 

실제로 이 동일한 이미지는 14번의 반복된 횟수에 따라 변화되는 캔버스 위의 물감 두께, 붓질의 망설임과 단호함의 차이들을 더욱 유심히 관찰하도록 만든다. 작가의 이런 형식적 접근은 이성휘가 쓴 7개의 편지형식과 닿아있다.

이 편지는 회화를 다시 언어화 시킨다는 것에 대한 약간의 의심과 큐레이터로서 갖는 회화 매체에 대한 고민을 솔직하게 담고있다. 편지는 각각 아빠에게, 친구에게, 소설가에게 심지어는 AI 등에게 발신된다. 이렇게 수신인에 따라 같지만 다른 7개의 편지는 박형지의 회화들과 연결되어 있다. 

박형지,  'A Green Man 5'. oil on linen, 80x60cm, 2017.
박형지, 'A Green Man 5'. oil on linen, 80x60cm, 2017.

이러한 형식적 실험은 책의 도판이미지를 회화 연작 중 가장 작은 작품과 1:1의 비율로 크기를 맞춰 박연주가 디자인한 책과도 연결된다. 14개의 그림 이미지와 한 개의 편지로 구성된 책은 미묘하게 다른 14개의 버전으로 다시 재조합 된다. 

보통 회화 작품은 가장자리가 매끄럽게 다듬어진 완전한 평면 이미지로 재생산된다. 그러나 사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약 4cm의 두께를 가진 직육면체의 입체인 동시에 그 표면을 이루는 물질은 감상의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즉, 회화를 ‘본다’는 것은 그 실체를 영접하는 것 외에 재현된 이미지의 표면을 다시 해석하고 오역하는 경우의 수를 포함한다. 이제 더 이상 회화에 대한 상징주의적 해석이 유효하지 않은 것이라 해도 회화의 형식 그 자체에만 집중하는 것은 오히려 회화가 불러일으키는 상상의 공간을 제한하는 일 일 수 있다.

회화는 그것이 어떤  이차원의 장소를 가진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우리를 그 앞에 서성이게 한다. 다시, 여기 ‘그린맨’들을 우리는 어떻게 바라 봐야 할까? ‘그린맨’의 성지가 된 화이트 큐브에서 14점의 그린맨들과 14권의 그린맨 또 그에 상응하며 순환된 7개의 편지들을 다시 어떻게 수축되고 확대 될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