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왕후가 후원한 ‘회암사’ 명 약사여래삼존도 보물 지정 예고
문정왕후가 후원한 ‘회암사’ 명 약사여래삼존도 보물 지정 예고
  • 강옥선
  • 승인 2018.10.28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트인포=강옥선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16세기 문정왕후가 발원한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를 비롯해 조선 시대 불교 조각과 고려‧조선 시대 불교경전 등 4건에 대해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사진=문화재청)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사진=문화재청)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檜巖寺’銘 藥師如來三尊圖)」는 1565년(명종 20년) 중종 계비 문정왕후(文定王后, 1501~1565)가 아들인 명종(明宗)의 만수무강과 후손 탄생을 기원하며 제작한 400점의 불화 중 하나로, 경기도 양주 회암사(檜巖寺)의 중창에 맞춰 조성된 것이다.

400점의 불화: 16세기 승려 보우(普雨)가 쓴 화기(畵記)에 의하면, 당시 석가약사·미륵·아미타불의 부처‧보살을 소재로 금니화(金泥畵)와 채색화(彩色畵) 각 50점씩 총 400여 점의 불화를 조성했다고 전해진다.

회암사의 대대적인 불화 조성을 추진한 문정왕후는 당시 막강한 권력을 소유했던 왕실 여성이자 많은 불사(佛事)를 추진한 불교 후원자였다. 회암사는 문정왕후의 후원을 받은 승려 보우의 활동기에 전국 최대 규모의 왕실 사찰로 번창하다 이후 쇠퇴하여 19세기 초 폐사지가 되었고, 지금은 ‘회암사지(檜巖寺址)’라는 명칭으로 사적 제128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불화는 가운데 본존인 약사여래를 중심으로, 왼쪽에 월광보살(月光菩薩), 오른쪽에 일광보살(日光菩薩)을 배치한 간략한 구도로, 금니(금물)로 그려 매우 화려하고 격조 있는 품위를 보여준다.

주존불과 보살 간에 엄격한 위계를 두어 고려불화의 전통을 따랐고 갸름한 신체와 작은 이목구비 등 조선 전기 왕실 발원 불화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총 400점의 불화는 대부분 흩어져 현재 미국과 일본 등지에 총 6점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국내에는 ‘약사여래삼존도’만이 유일하게 알려져 있다.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는 조선 시대 최대 규모 왕실 불사 회암사에서 제작한 역사적, 불교사적으로 상징성이 높은 작품으로, 조선 전기 왕실불교 부흥에 영향을 끼친 왕실 여성들의 활동과 궁중화원이 제작한 불화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목포 달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사진=문화재청)
'목포 달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사진=문화재청)

'목포 달성사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木浦 達聖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은  1565년(명종 20년) 향엄(香嚴) 등 5명의 조각승이 참여해 조성한 작품으로, 지장삼존(地藏三尊), 시왕(十王), 판관(判官)과 사자(使者) 등 19구로 이루어진 대단위 불상군이다.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3(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三)'과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5(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五)'는 불교의 경전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중 각각 권3과 권5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불교 의식 중 하나인 참회법회(懺悔法會)를 통해 부처의 영험을 받으면 죄를 씻고 복을 누리게 되며, 나아가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발원(發願)의 내용을 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