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가 보물창고-⑦] 이건희 소유 국보 제129호 '금동보살입상'
[삼성가 보물창고-⑦] 이건희 소유 국보 제129호 '금동보살입상'
  • 왕진오
  • 승인 2017.10.30 15: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트인포=왕진오 기자] 삼성 이건희 소유 국보 제129호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현존하는 소형 금동불상 중 최대 크기를 자랑하는 8세기 통일신라시대 금동보살입상은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했던 보살상의 양식과 특징을 잘 보여준다.

국보 제129호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사진=문화재청)
국보 제129호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사진=문화재청)

이 작품이 최근 세상에 공개된 것은 2015년 4월 7일부터 2016년 2월 28일까지 경기도 용인 호암미술관에서 진행된 ‘수호의 염원’전을 통해서다.

살아서는 물론이고 죽은 이후에도 평안하기를 바라고, 흉한 것으로부터 보호 받기를 원하는 인간의 보편적 염원을 조망하는 특별전시는 통일신라·고려·조선 시대 고미술에 담긴 평안과 수호에 대한 염원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췄다.

이 불상은 통일신라시대의 보살상으로 폐사지(廢寺址)에서 출토됐다고 전할 뿐, 그 자세한 유래는 알 수 없다. 이 금동보살입상은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하던 보살상의 양식과 특징을 잘 보여 준다. 현재의 상태는 대좌(臺座)와 보관(寶冠)이 없고, 왼손이 팔뚝에서부터 떨어져 나갔다. 도금의 흔적은 약간만 남아 있을 뿐이고 동질(銅質)의 바탕이 드러나 적갈색을 띠고 있다.

보살상은 몸에 비해 머리는 약간 큰 편이고, 머리 윗부분에는 보관(寶冠) 자국만이 남아 있다. 얼굴은 눈을 경계로 그 위쪽보다 아래쪽이 유난히 길어, 어딘지 모르게 경직된 느낌을 주고 있다. 코는 길고 뾰족하며 귀도 길고 직선적이다.

국보 제129호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사진=문화재청)
국보 제129호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사진=문화재청)

상체는 나신이고, 두 가닥의 주름진 천의가 왼쪽 어깨에서 앞가슴을 대각선으로 가로질렀다. 그리고 다시 오른쪽 허리에서 뒤쪽 등으로 돌아 각각 양팔 위로 흘러내리고, 오른손이 그 중의 한 자락을 잡고 있다. 팔뚝과 손목에는 팔찌를 끼고 있다.

군의(裙衣)의 일부는 허리에서 접혀져서 다리 윗부분에 한 번 드리워지고, 나머지는 발목 위에까지 내려져 있다. 주름은 U자형의 도드라진 양각선으로 표현됐고, 두 다리 사이에는 굴곡진 형상으로 늘어졌다. 군의 자락 속에서 도톰한 다리의 윤곽이 드러나 보인다.

불상의 뒤쪽에는 목에 희미한 천의와 허리에 접혀진 군의의 윤곽이 보인다. 주조 과정에서 생긴 긴 타원형의 구멍이 머리와 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씩 뚫려 있다. 몸통 아래와 위에는 꼭지가 하나씩 있어, 광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비교적 균형이 잘 맞고 몸의 형태도 유연한 편이다. 하지만 주조 기법이나 조형상으로는 약간 딱딱한 느낌을 풍긴다. 이런 양식의 보살상은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국보 제129호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사진=문화재청)
국보 제129호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사진=문화재청)

719년으로 추정되는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慶州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 국보 제81호)이나 8세기 중반으로 추정되는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慶州掘佛寺址石造四面佛像, 보물 제121호)의 보살상은 재료는 다르지만 비슷한 유형이다.

이러한 보살상 형식은 중국의 당나라 조각 양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8세기 초기의 보살불상에서도 이와 비슷한 양식이 나타난다. 이 금동보살상의 얼굴이나 몸체의 표현에서 보이는 약간의 경직성 등으로 미루어 보아 대체로 8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