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중성에서 고려시대 방어시설 목책 치(雉)와 외황(外隍) 확인
강화중성에서 고려시대 방어시설 목책 치(雉)와 외황(外隍) 확인
  • 강옥선
  • 승인 2018.12.06 16: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트인포=강옥선 기자] 강화 옥림리 주택신축부지에 대한 소규모 국비지원 발굴조사에서 고려 시대 강화중성(강화군 향토유적 제2호)의 목책 치(雉)와 외황(外隍)을 처음 확인했다.

'조사지역 전경'.(사진=문화재청)
'조사지역 전경'.(사진=문화재청)

고려 조정은 1232년(고종 19년) 몽골 침략에 맞서 수도를 강화도로 천도했다. 이후 강화는 1270년(원종 11년)까지 39년간 개경을 대신해 고려의 도성 역할을 했다.

대몽항쟁 당시 강화도성은 내성을 비롯해 외성, 중성 등이 차례로 축조되어 모두 세 겹의 성벽이 겹겹이 둘러싼 요새를 구축했었다.

이들 중에서 ‘강화중성’은 흙을 다져 조성한 약 8.1km에 달하는 토성으로 이번에 발견한 목책 치와 외황이 확인된 지점은 강화중성이 시작하는 강화읍 옥림리의 옥창돈대 부근에 해당한다.

조사 결과, 강화중성 토성벽에서 밖으로 돌출된 능선부에서 고려 시대 강화중성과 함께 만들어진 방어시설로 목책 구덩이, 외황, 초소 등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이밖에도 신라토기 폐기장이 확인되어 신라 시대부터 이곳에 군사목적의 방어시설이 존재했을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지역 외황1'.(사진=문화재청)
'조사지역 외황1'.(사진=문화재청)

'고려사절요'의 기록(권17 고종 46년 6월)에 따르면 몽골은 고려와의 전쟁을 끝내기 위한 강화협정을 맺으면서 강화도성을 허물 것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강화협정이 이루어진 후, 실제로 몽골 관리가 성벽을 허무는 과정도 감시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번 조사에서 기록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강화중성의 일부인 목책을 인위적으로 허물고 다시 메운 흔적이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것이다.

외황은 목책 치를 두 겹(외항1·외항2)으로 둘러싸고 있다. 외황1은 풍화암반층을 'L'자형으로 파고 바깥쪽을 돌과 흙으로 성벽처럼 다져 올려 도랑을 만들었다. 외황2는 풍화암반층을 U자형으로 파내고 파낸 흙을 바깥쪽으로 쌓아 올려 만들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