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와 돌에 공생하는 끈질긴 '이끼'의 생존... 민병헌 작가 신작 선보여
나무와 돌에 공생하는 끈질긴 '이끼'의 생존... 민병헌 작가 신작 선보여
  • 이예진 기자
  • 승인 2019.02.19 15: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트인포=이예진 기자] 흑백아날로그 프린트를 고집하는 민병헌 작가. 그가 찍는 풍경은 일상의 자연이지만 그의 사진 속 해석된 풍경은 우리가 보지 못하는 다른 세상이다. 

민병헌, 'ms176'. 2017.(사진=한미사진미술관)
민병헌, 'ms176'. 2017.(사진=한미사진미술관)

그는 1987년 ‘별거 아닌 풍경’에서부터 사진가가 어떻게 대상을 탐구하는지를 분명히 제시하며 완벽한 프린트를 통해 새로운 세상을 창조해 왔다.

민 작가의 사진은 중립적인 빛에 집중했고, 길가에 밟히는 작은 풀, 거친 땅과 같은 풍경을 발표하면서 사진의 소재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같은 대상을 어떻게 다르게 보는가에 천착했다.

그 삶의 터전에서 누적된 경험과 시간이 내면에 켜켜이 쌓여 작품으로 발현된다. 그렇게 민병헌이 발붙이고 사는 땅과 더불어 '그다움'을 만들어갔다. 

한미사진미술관은 사진의 특성과 미학 성찰을 넘어 인간, 제도, 문명, 이데올로기, 환경, 역사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현대 사진의 다양성을 보여준 1990년대 '사진가들 중추'이며 그들의 현주소를 조명하는 전시를 기획, 진행하고 있다. 

지난 2018년 8월 박기호 사진전, 김중만 사진전에 이어 오는 2월 23일부터 민병헌의 ‘이끼’를 소개한다. 민병헌 사진전 ‘이끼’는 정통 아날로그 사진의 형식으로 보여주는 사진가 민병헌의 신작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민병헌의 특허라고 볼 수 있던 아련한 중간톤은 없다. 민병헌은 혼자서 천천히 걸으며 눈에 들어오는 빛과 바람을 수집한다. 군산으로 터전을 옮기면서 예전과 다른 강한 톤, 다양한 빛을 보게 되었다고 한다. 

그가 빛을 찾아 헤매고 땅의 숨소리에 이끌려 보이지 않는 빛과 시간의 흔적의 끝에서 마주한 깊고 음습한 지역. 그 마주한 원초적인 생명 군생하는 이끼의 모습을 소름 돋을 만큼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이끼는 육상 생활을 시작한 최초의 식물군이다. 보통 식물의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대지에 바짝 붙거나 나무와 돌에 공생한다. 

강렬한 태양 빛이 드리우는 그 순간 물기를 품어내면서 보이는 반짝임을 통해 이끼의 모습을 구별할 수 있고 돌과 나무에 기대거나 엎드린 형태로만 그 범위를 추측할 수 있다.

민병헌, 'ms248'. 2017.(사진=한미사진미술관)
민병헌, 'ms248'. 2017.(사진=한미사진미술관)

태초부터 지금까지 살아있는 끈질김, 물과 빛을 품은 후 발산하는 축축하고 끈적한 불편한 존재감 그리고 이끼를 키워내는 음습한 곳의 척박함과 디테일을 과감하게 드러낸다. 가끔은 보일 듯 말 듯 형체를 감추고 드러나지 않은 듯 평온하다가도 와글와글 군집한 현상이 섬뜩하기도 하다.  

어느 순간 도착한 깊숙한 자연 속에서만 보이는 것, 그리고 눈 앞에 있어도 본질을 확신할 수 없는 그렇게 매일매일 다르게 보이는 것들을 붙잡을 수 없는, 공허한 아름다움과 빛을 따라 여전히 그는 민병헌의 방식으로 세상을 본다. 그리고 지금도 변함없이 별거 아닌 것을 특별한 눈으로 세상을 해석한다. 

한미사진미술관에서 2019년 2월 선보이는 민병헌 사진전 '이끼 Moss'와 함께 사진집이 발간됐다. 이번 사진집에는 '안개Deep Fog', '폭포Waterfall', '강River' 시리즈 등 자연에 주목하며 정통 아날로그 사진의 형식을 보여주는 사진가 민병헌의 90여 점의 신작을 담고 있다.

강한 콘트라스트로 표현된 물과 빛을 품어내는 오묘한 이끼의 형상을 흑백사진으로 풍부하게 담아냈다. 도록에는 개인전을 앞두고 민병헌과 이준(리움 부관장)이 두 차례 구술대화를 통해 정리, 편집한 인터뷰 글이 실렸으며, 특별히 김민정(시인)의 글을 포함한다. 전시는 5월 18일까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