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0~80년대 러시와와 북한을 오가며 제작한 변월룡 작품 공개
1940~80년대 러시와와 북한을 오가며 제작한 변월룡 작품 공개
  • 김재현
  • 승인 2019.04.30 17: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트인포=김재현 기자] 한국전쟁 이후 활동한 러시아 국적의 고려인 화가 변월룡(1916~1990)이 1940년대부터 80년대까지 러시아와 북한을 오가며 제작한 작품 189점이 상업화랑 최초로 삼청동 학고재 본관과 신관에 4월 17일부터 걸린다.

변월룡, '북한에서'. 캔버스에 유채, 150 × 250cm, 1950~1955.(사진=학고재)
변월룡, '북한에서'. 캔버스에 유채, 150 × 250cm, 1950~1955.(사진=학고재)

변월룡은 지난 2016년,탄생 100주년을 맞아 국립현대미술관과 제주도립미술관이 개최한 대규모 회고전을 계기로 국내에 처음 소개됐다.

분단의 비극이 낳은 정치적 이유로 인해 한국 미술사에서 지워진 비운의 이름이 있다. 평생 한국식 이름을 고수하고 조국을 그리워했으나 끝내 환영받지 못한 채 잊혀진 화가, 변월룡이다.

변월룡은6.25전쟁 이후 고국의 모습을 기록화로 남겼으며, 특히 북한 미술의 발전에 중대한 역할을 했다. 폐허와 다름없던 평양미술대학의 학장 및 고문으로 파견되어 교육 체계를 바로잡는 데 힘쓰는 한편, 당대 주요 화가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사실주의 미술의 탄탄한 기초를 전수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귀화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배척당했고, 남한에는 최근까지 변월룡의 존재가 알려진 바 없어그동안 충분한 조명과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변월룡은 한국 구상미술 역사의 공백을 메울 인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서양화의 기초와 표현에 있어 뛰어난 역량을 지닌 화가로, 전후 한국 근현대 미술사의 맥락을 강화할 주요 인물이다.

변월룡, '평양의 아침'. 동판화, 34.2×60.8cm,1960.(사진=학고재)
변월룡, '평양의 아침'. 동판화, 34.2×60.8cm,1960.(사진=학고재)

특히 한국인 화가가 일본과 서구뿐만 아니라 러시아에서 서양화를 배워 한국에 유입했다는 점은 연구의 폭을 확장할 계기를 마련한다.

변월룡은 러시아의 당대 주요 인사들은 물론, 한국 위인들의 인물화를 많이 그렸다. 전설적인 무용가 최승희를 비롯해 화가 배운성, 문학수, 정관철, 1950년대 이후 우리 역사에서 홀연히 사라진 근원(近園) 김용준, 민촌(民村) 이기영 등 수많은 월북화가와 문인들이 변월룡의 화폭에 담겼다.

전시는 변월룡의 삶과 작품인생의 흐름을 순차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동선을 구성했다. 전시장 중앙에 '무용가 최승희의 초상'(1954)이 보인다.

이 벽을 중심으로 우측 벽에는 1950년대 북한 파견 기간에 그린 작품들을 선보인다. 한국인 소녀의 모습을 정답게 묘사한 '양지(陽地)의 소녀'(1953)를 비롯해, 고려 시대 정몽준이 피살된 장소로 알려진 '개성 선죽교'(1953), 전후 평양의 재건 현장을 가늠할 수 있는 '평양의 누각'(1954) 등 다양한 풍경화도 살펴볼 수 있다.

변월룡, '6.25전쟁의 비극'.동판화, 49 x 64.5cm, 1962.(사진=학고재)
변월룡, '6.25전쟁의 비극'.동판화, 49 x 64.5cm, 1962.(사진=학고재)

중앙 벽 뒤편에는 변월룡과 친밀하게 교류한 화가 문학수, 정관철, 배운성, 문학가 근원 김용준, 민촌 이기영 등의 초상이 모여 걸렸다.

변월룡이 유화로 그린 유일한 자화상도 볼 수 있다. 바로 왼편에 걸린 '사회주의 노동영웅 어부 한슈라(A.S. 한)'(1969)를 기점으로 좌측에는 주로 1970년대부터 80년대에 제작한 작품을 선보인다. 조국에의 복귀가 끝내 무산되자 좌절을 딛고 일상 속에서 자아를 찾으려 노력한 시기다.

문영대 평론가는 변월룡이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심정을 구체적인 사물로 가시화시킨 것이 버드나무"이며, “자신의 심경을 (꽃사슴의) 긴 모가지에 이입시켜 접경 너머의 고국으로 향하고픈 시선"을 표현했다고 해석한다.

신관에서는 변월룡이 다양한 시기에 제작한 초상화와 데생, 판화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신관 1층에서는 러시아 당대의 화가들과 조각가, 유명 배우뿐만 아니라 외과 의사, 화부 등 다양한 인물의 초상을 만나볼 수 있다. 전시는 5월 19일까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