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에도시대 귀족 여성들이 사용한 세면도구는 무엇일까요?
日 에도시대 귀족 여성들이 사용한 세면도구는 무엇일까요?
  • 강옥선
  • 승인 2019.05.14 15: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트인포=강옥선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5월 10일부터 상설전시관 3층 일본실에서 새로운 상설전시를 진행한다. 이번에 교체한 전시품은 병풍 2점, 족자 2점, 공예품(마키에 칠기) 7점, 다색판화(우키요에(浮世繪)) 8점으로 총 15점이다.

'가라코의 꼬리잡기 놀이(唐子遊圖屛風)'., 나가사와 로세쓰(長澤蘆雪, 1754~1799),  167.0 × 372.0cm, 에도시대 18세기, 6폭 병풍, 구8564.(사진=국립중앙박물관)
'가라코의 꼬리잡기 놀이(唐子遊圖屛風)'., 나가사와 로세쓰(長澤蘆雪, 1754~1799), 167.0 × 372.0cm, 에도시대 18세기, 6폭 병풍, 구8564.(사진=국립중앙박물관)

이번 전시품 가운데에는 에도시대(江戶時代, 1603~1868) 상류층 여성들이 혼수품으로 장만해 사용했던 마키에 칠기 세면도구가 있다.

얼굴과 손을 씻는 대야(관盥), 수건걸이(수식괘手拭掛), 따뜻한 물을 담았던 용기(탕통湯桶), 칫솔로 사용한 버드나무 가지를 보관했던 상자(양지상楊枝箱)와 입을 헹궈내는 용도의 다완(수다완嗽茶碗) 등이다. 칠이 마르기 전 금과 은을 뿌려 무늬를 장식하는 ‘마키에(蒔繪)’기법으로 제작한 칠기들은 에도시대 상류층 여성들의 화려했던 삶의 일면을 보여준다.

한편 중국의 고사(故事)를 소재로 일본 근대회화 2점도 소개한다. 이 작품들은 중국 당(唐)대 인물인 등왕(滕王)과 곽자의(郭子儀, 697~781)의 고사를 그린 것이다.

'곽자의(郭子儀)'. 가와바타 교쿠쇼 (川端玉章, 1842~1913), 123.5 × 57.9cm, 20세기 초, 축, 비단에 채색, 근대213.(사진=국립중앙박물관)
'곽자의(郭子儀)'. 가와바타 교쿠쇼 (川端玉章, 1842~1913), 123.5 × 57.9cm, 20세기 초, 축, 비단에 채색, 근대213.(사진=국립중앙박물관)

'등왕각(滕王閣, 근대208)은 당 고조(高祖,재위 618~626)의 아들 등왕이 653년 건립한 등왕각을 묘사한 그림이다. '곽자의, 근대213)는 노년의 곽자의 부부가 자녀, 손자들에게 둘러싸여 복록을 누리는 모습을 묘사했다.

곽자의는 당 현종(玄宗, 재위 712~756) 때 안사(安史)의 난을 토벌한 전쟁영웅으로, 장수를 누리고 자손들이 모두 입신출세해 부귀공명의 상징으로서 감계화(鑑戒畫) 또는 길상화(吉祥畫)의 주제로 선호됐다.

이외에도 에도시대 후기 개성 강한 화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나가사와 로세쓰(長澤蘆雪, 1754~1799)가 그린 '가라코의 꼬리잡기 놀이' 병풍도 감상할 수 있다. 중국식 복장과 머리모양을 한 귀여운 동자들의 천진난만한 모습이 매력적이다.

'후추(府中)'. 우타가와 구니요시 (歌川國芳, 1798~1861), 37.5×25.0cm, 에도시대 19세기, 다색판화, 구2990.(사진=국립중앙박물관)
'후추(府中)'. 우타가와 구니요시 (歌川國芳, 1798~1861), 37.5×25.0cm, 에도시대 19세기, 다색판화, 구2990.(사진=국립중앙박물관)

우키요에(浮世繪) 시리즈 '도카이도의 53개 이야기(東海道五十三對)'에서는 개성 있는 풍경과 특산물을 자랑했던 8곳의 역참들을 소개한다.

특히 당시 손수건의 대부분을 생산했던 나루미(鳴海) 지방, 아베차(阿部茶)의 산지였던 후추(府中) 지방 등을 묘사한 작품이 눈길을 끈다. 상설전시관 일본실은 연중 무료 관람이며, 이번 공개는 2019년 8월 31일까지 계속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