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세권, 에라스무스, 'Dual Light _ 시대의 아픔을 향하는 두 시선'
안세권, 에라스무스, 'Dual Light _ 시대의 아픔을 향하는 두 시선'
  • 진오성
  • 승인 2017.11.27 16: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트인포=진오성 기자] 한국과 독일의 대표 사진작가 안세권과 에라스무스  2인이 한 공간에서 자신들이 바라본 서로 다른  세상의 이미지를 펼쳐낸다.

안세권, '청계천에서 본 서울의 빛'. 270cm x125cm, C-print, 2004.
안세권, '청계천에서 본 서울의 빛'. 270cm x125cm, C-print, 2004.

2008년 9월17일부터 10월8일까지 사간동 UNC갤러리에서 진행된  'Dual Light' 전은 한국과 독일 이라는 지리적 원근을 떠나서 동질감을 갖는 의식의 순간을 담아낸 형상을 통해 각각이 역사와 사회 속에서 쓸모를 다하고 버려진 대상들과 잃어버린 공간들을 향해 끊임없이 셔터를 누른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전혀 다른 시공간을 살아온 이들이지만 상실된 것을 잡고자 하는 공통의 감성을 파인더에 담아내는 이들이 가진 주제는 비록 속도와 과정은 다르게 비추어 지지만 분단과 근대화 과정을 경험한 공통의 역사적 감성에서 비롯된 현실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들의 작품에는 한국과 독일의 각각의 역사와 정치, 사회를 돌아보게 하는 강력한 자극이 보여진다. 이 안에서, 예술은 삶과 시대의 동반자이며, 역사,사회, 정치라는 단어가 예술을 자극하는 가장 강력한 동력일 수 있음을 느낄 수 있게 된다.

2008년, 우리는 지난 과거 시대를 잃어버리고 사는 우리들에게 그것을 잃지 않고 현재까지 그 연속의 이미지를 끌고있는 두 작가의 만남을 접하면서 시대의 아픔과 함께 기쁨을 느끼는 시간이 될 것이다.

안세권, '청계Scape'. 2004.
안세권, '청계Scape'. 2004.

시대의 아픔을 향하는 두개의  시선

두 작가는 작품 속에서 각각의 역사가 지닌 상처를 노출 시킨다. 동독 출신의 예술가인 에라스무스의 작품에 등장하는 벙커들은 실제로 2차 세계대전 때 건설되었던 것으로, 자만으로 가득 차 세상을 정복하려 했던 인간의 집단적 욕망이 최고조에 달한 전쟁의 상징물 중의 하나이다. 당시에는 위엄 있고 영웅적인 모습이었지만 현재는  부서지고 부식되어 쓰러져가는 퇴물이 되어 역사속의 무덤 처럼 다가오게 된 것이다.

안세권 은 몇 해 전 진행된 청계천 복개공사 현장과 월곡동 뉴타운 건설현장을 담아 내었다. 이들 장소에서 진행된 건설개발은 삶의 기억을 철저하게 지워버린 한국 근대화의 표상인 셈이다.

이 현장들은 한때 근대적 이상향에 경도된 인간의 잔인한 목적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이제 더 이상 누구도 원하지 않으며 누구의 이상향도 아닌 곳이다. 시대의 아픔이 배어있지만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바로 그곳에 빛을 머금은 두 시선이 향해 있다.

 

현실

에라스무스, 'BUNKER45'. 120x150cm, C-Print/Diasec, 1996.
에라스무스, 'BUNKER45'. 120x150cm, C-Print/Diasec, 1996.

현실과 초현실의 공존하는 공간

두 작가는 인간의 욕망에 의해 건설된 인공물 들이 새로운 이상에 따라 형성과 몰락을 반복하며 그 장소가 가진 경험과 기억이 상실되거나 다른 무언가에 대체되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그러나 이들은 단순히 시대의 아픈 현실을 기록 하기 보다, 이러한 현실을 초월한 이상적인 아름다움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이상향에 대한 초현실적 지향은 빛에 의해 극대화된다.

에라스무스는 퇴물이 된 벙커에 인공의 빛을 주어 장엄한 화면을 연출하고, 안세권은 공사 현장에서 발산되는 자연스러운 빛을 통해 삶의 꿈틀거림에 대한 관조로 개발현장을 연출한다.

안세권, '뉴타운 풍경, 서울 월곡동'. 2005,
안세권, '뉴타운 풍경, 서울 월곡동'. 2005,

그들의 시선은 현실을 향하고 있지만, 작품 속에서 현실은 초현실과 교차되고 있는 것이다. 사진은 실재를 좇지만 결국엔 실재의 자국인 것처럼, 우리는 사진에서 투영된 현실에 집중하려 하지만 자국을 통해 우리는 실제의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는 초현실의 시공간을 만나게 된다.

에라스무스의 벙커, 안세권의 청계천. 사라지고 상실된 공간과 버려진 대상을 통해 각각의 역사에 스며든 인간 욕망의 현실과 인간이 꿈꾸는 유토피아의 이상성이 함께 구현되고 있다. 이처럼 현실과 비현실의 공존을 가능케 한 에라스무스와 안세권의 작품은 지극히 현실적인 동시에 초현실적 인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