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술의 화려한 면모...삼성미술관 리움 ‘금은보화’
한국 미술의 화려한 면모...삼성미술관 리움 ‘금은보화’
  • 왕진오
  • 승인 2017.12.21 13: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트인포=왕진오 기자] 블랙박스 전시공간의 어둠 속에 은은히 빛을 드러내는 금과 은, 보석으로 만들어진 공예품들이 눈길을 자극하며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고대로 여행을 떠나는 분위기를 자아낸다.

보스턴미술관 소장, 고려시대 '은제도금 주자 및 승반'.(사진=왕진오 기자)
보스턴미술관 소장, 고려시대 '은제도금 주자 및 승반'.(사진=왕진오 기자)

2013년 5월 28일부터 6월 2일까지 삼성미술관 리움이 한국의 국보급 전통미술을 통해 고미술의 화려한 예술성을 새롭게 발견하는 동시에 가장 귀한 재료와 고도의 기술로 구현한 명품 고미술을 한 자리에 모은 '금은보화'(金銀寶貨)전의 첫 느낌이다.

지난 2011년 조선시대 '화원'을 조명한 '조선시대화원대전'이후 2년여 만에 열리는 고미술 기획전이다. 이를 위해 미국 보스턴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등 국내외 주요 박물관에서 대여한 국보 9점, 보물 14점을 비롯한 총 65점의 한국전통공예 명품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국보 138호 가야금관.(사진=왕진오 기자)
국보 138호 가야금관.(사진=왕진오 기자)

'금은보화'(金銀寶貨)는 귀금속류를 대표할 수 있는 금과 은 외에 옥, 수정(水精), 유리(琉璃), 호박(琥珀)등과 같이 특유의 아름다움과 희귀함을 인정받아 널리 사랑 받아온 재료를 의미하며 고대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 다양하고 화려한 작품들이 제작됐다.

이번 전시에는 일본의 오쿠라 컬렉션이 소장한 것과 함께 두 점뿐인 가야의 금관이 출품되어 관람객과 관계자들의 눈길을 모으고 있다. 국보 138호인 이 금관은 가야문화를 상징적으로 대표하는 유물로 리움이 소장하고 있다.

보스턴미술관에서 대여한 현존하는 유일한 고려시대의 은제주자이자, 기법과 미적 측면에서 고려 금속공예의 정수를 보여주는 '은제도금 주자 및 승반'도 주목된다. 낙랑 1세기 경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국보 89호 금제교구(金製鉸具)도 함께 선보인다. 평양 대동강변 석암리 9호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 고리다.

국보 80호, 통일신라 ‘금제 여래 입상’.(사진=왕진오 기자)
국보 80호, 통일신라 ‘금제 여래 입상’.(사진=왕진오 기자)

전시공간을 석굴암 형태로 구성해 사천왕상이 조각된 감은사 동삼층석탑의'금동 사리외함'(보물 1359호), 경주 구황동 절터와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금제 여래 입상'(국보 80호), 연꽃잎이 3중으로 중첩된 연화대좌 위에 결과부좌하는 모습의 '금동 대세지보살 좌상'(보물 1047호)등이 육감적이면서도 절제미가 돋보이는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조각을 보여준다.

또한 장인들의 세공실력을 조명하여 최고의 재료에 문양이라는 빛이 입혀진 공예품을 선보이기 위해 '감지금은이 대방광불화엄경'(국보 215호), '청동은입사 운룡문 향완'(국보 214호), '상감 유리구슬'(보물 634호)등을 통해 유물에 나타나는 화려한 장식과 기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전통 공예의 우수성을 집중적으로 부각하고 있다.

국보215호 고려시대 '감지금은니 대방광불화엄경 '권31'.(사진=왕진오 기자)
국보215호 고려시대 '감지금은니 대방광불화엄경 '권31'.(사진=왕진오 기자)

이번 전시에서 마련한 한국의 명품 공예품들은 그간 한국 미술의 특징으로 꼽아 왔던 순수, 여백과는 전혀 맥락을 달리하는 화려함과 정교함의 아름다움이 있는 작품으로, 가장 귀한 재료와 고도의 기술을 통해 찬란하게 빛난 한국 전통 공예의 미를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